언론보도
언론 속 한빛예술단의 소식을 빠르게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예술인 인정받아 뿌듯해요"... 시각장애 트럼펫 연주자의 '인생 2막' 도전기
김은빈(33)씨는 트럼펫 연주자다. 학위는 얼마 전 막 취득했지만, 실력은 이미 베테랑 못지않다. 그의 나이를 생각하면 너무 늦게 음악을 시작한 것 아니냐고 반문할 수도 있으나 그럴 만한 사연이 있다.
김씨는 사실 5년 전 제주대 음대 졸업을 앞두고 있었다. 장밋빛 미래를 꿈꾸던 젊은 연주자에게 시각장애라는 청천벽력 같은 선고가 떨어졌다. 포기하지 않았다. 한빛맹학교에 다시 들어가 음악전공과를 마치고 ‘인생 2막’의 출발선에 섰다. 16일 만난 김씨는 “장애인이 아닌 예술가로서 전문성을 인정받겠다”며 미소 지었다.
지난 5년간 김씨의 인생은 말 그대로 롤러코스터를 탔다. 트럼펫은 분신과도 같았다. 첫 만남은 고교 입학식 때였다. “관악부 선배들의 고적대 공연을 보자마자 관현악에 빠져들었죠.” 대학에 진학해 동기들과 밤낮없이 합주에 매진했고, 휴학 기간에도 방과 후 수업 강사로 음악을 가르치며 트럼펫을 손에 놓지 않았다.
시련은 2018년 4월 찾아왔다. 마지막 학기를 다니던 그는 어느 날 새벽 원인 모를 통증을 호소하다 응급실로 실려갔다. 인지하지 못한 고혈압 합병증과 학업ㆍ업무 스트레스가 겹쳐 신장에 문제가 생겼다고 했다. 입원 당일 밤이 되자 시야가 흐려졌다. 1년 동안 병원 신세를 진 뒤 장애등급 판정을 받을 땐 시력이 회복하기 어려울 정도로 나빠져 있었다.
“인생이 끝난 것 같았죠. 2년을 꼬박 아무것도 못 하고 밤마다 울기만 했습니다.” 장애로 인한 상처는 꽤 깊었다. 우울증을 극복한 건 타고난 긍정의 힘 덕이었다. 다시 정신을 차리니 꿈이 보였고, 시각장애인 전문 연주단 한빛예술단의 구성원이 되겠다는 구체적 목표도 생겼다.
김씨의 재도전은 2021년 한빛맹학교에 입학하면서 시작됐다. 이 학교는 2004년부터 전국 특수학교 중 유일하게 기악, 성악, 작곡, 실용음악 등을 교육하는 음악전공과를 운영하고 있다. 점자 악보를 보는 법은 물론 휴대폰 쓰기, 지팡이 짚기 등 시각장애인의 모든 일상을 여기서 배웠다. 그는 “다시 태어나게 해 준 곳”이라고 했다.
시련은 2018년 4월 찾아왔다. 마지막 학기를 다니던 그는 어느 날 새벽 원인 모를 통증을 호소하다 응급실로 실려갔다. 인지하지 못한 고혈압 합병증과 학업ㆍ업무 스트레스가 겹쳐 신장에 문제가 생겼다고 했다. 입원 당일 밤이 되자 시야가 흐려졌다. 1년 동안 병원 신세를 진 뒤 장애등급 판정을 받을 땐 시력이 회복하기 어려울 정도로 나빠져 있었다.
“인생이 끝난 것 같았죠. 2년을 꼬박 아무것도 못 하고 밤마다 울기만 했습니다.” 장애로 인한 상처는 꽤 깊었다. 우울증을 극복한 건 타고난 긍정의 힘 덕이었다. 다시 정신을 차리니 꿈이 보였고, 시각장애인 전문 연주단 한빛예술단의 구성원이 되겠다는 구체적 목표도 생겼다.
김씨의 재도전은 2021년 한빛맹학교에 입학하면서 시작됐다. 이 학교는 2004년부터 전국 특수학교 중 유일하게 기악, 성악, 작곡, 실용음악 등을 교육하는 음악전공과를 운영하고 있다. 점자 악보를 보는 법은 물론 휴대폰 쓰기, 지팡이 짚기 등 시각장애인의 모든 일상을 여기서 배웠다. 그는 “다시 태어나게 해 준 곳”이라고 했다.
<원문 보기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22311310002943?did=NA>